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3년 2월 22일 뉴스 TOP3
    카테고리 없음 2023. 2. 22. 07:48

     

    1. 물가·금리 불확실성에 실적 그림자… 뉴욕증시 동반 하락 

     

    21일 주요 지수 2~3% 하락
    홈디포 -7% · 테슬라 -5%
    모건스탠리 “조만간 주가급락
    연준 금리 3번 더 올릴 수도”
    미국 국채 수익률·달러 가치↑

    • 물가·금리 불확실성과 실적 부진 리스크로 21일(이하 미국 동부시간) 뉴욕증시 주요 주가지수가 동반 하락
    • 월가에서는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예상보다 더 많이 오릴 것이며 이에 따라 S&P500 지수가 조만간 급락할 수도 있다는 대형 투자은행 전망
    • 채권시장은 연준의 금리 인상 경로를 어느 정도 반영했기 때문에 국채 가격이 급락하고 수익률이 올랐지만 주식시장은 낙관론이 우세해 연준 리스크를 아직 반영하지 않았다는 판단에 따른 전망
    • 한편 테슬라(TSLA) 주가는 하루 새 5.25% 낙폭 기록. 중국에서 중국산 전기차 소비가 늘어난 반면 미국 기업인 테슬라 전기차 소비는 부진하다는 지표가 나온 영향

    매일경제

    하룻밤 사이 채권시장 국채 수익률이 미국 국채 10년물 3.34%, 2년물 2.34% 가 올랐다. 
    미국 금리 인상에 크게 힘을 싣는 모양이다. 금리 인상기조로 분위기도 안 좋아서 주식시장 전체적으로 2~3%가 빠지는데 홈디포나 테슬라처럼 실적이 안 나오고 나쁜 뉴스가 나오면 더 크게 빠지는 상황이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에 궁긍적인 멘트들이 있길 바랄 뿐이다.
    부정적인 멘트가 있다면 주식시장은 더 빠질 것이고 국채는 더 올라갈 것이다. 다음 달 미국 금리 인상시기 전까지는 계속 시장이 안 좋을 것이다. 

    https://www.mk.co.kr/news/economy/10654251

     

    물가·금리 불확실성에 실적 그림자…뉴욕증시 동반 하락 [월가월부] - 매일경제

    21일 주요지수 2~3% 하락홈디포 -7% · 테슬라 -5%모건스탠리 “조만간 주가급락연준 금리 3번 더 올릴 수도”미국 국채 수익률·달러 가치↑

    www.mk.co.kr

     

     

     

    2. "점심시간에 2000원 벌었어요"… 직장인들 열광한 앱

    "자투리 시간에 앱테크" 직장인들 늘어나

    • "점심 먹고 사무실로 돌아가는 길에 2000원 벌었어요." 만보기, 광고보기 등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보상받음
    • 경기 불황과 고물가가 지속되면서 휴대폰 앱으로 돈을 모을 수 있는 앱테크(애플리케이션과 재테크 합성어)가 인기
    •  특히 올 들어 전기·가스요금에 이어 택시와 버스·지하철 등 공공요금까지 인상, 서민들의 호주머니 부담이 가중

    한국경제신문

    1. 앱테크를 통해 모은 돈으로 식재료, 필수품 등 생활비로 쓴다 (32.5%)
    2. 커피와 담대 기호식품 비용으로 쓴다 (24.7%)
    3. 의류, 신발, 액세서리 등을 주문할 때 차감한다 (23.0%) 
    4. 예금, 적금한다 (13.3%)

    여기서 주목해야 할게 '4번 예금, 적금한다' 
    나도 앱테크로 돈을 모으고 있지만 모아봤자 1~2천 원이다. 그 돈을 모았으면 당연히 생활에 쓴다(1~3번)
    그러나 그 티끌 같은 돈을 예금, 적금이 쓰는 사람이 13%나 된다. 실물경기가 어려운 것이 체감된다. 
    예, 적금하는 13%는 꼭 성공할 거라고 믿는다. 나도 앱테크 1개만 했는데, 뉴스보고 토스 앱테크도 같이 해야겠다.
    나 또한 직장인이니 같이 열광하겠다.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302212332g

     

    "점심시간에 2000원 벌었어요"…직장인들 열광한 앱

    "점심시간에 2000원 벌었어요"…직장인들 열광한 앱, "자투리 시간에 앱테크" 직장인들 늘어나

    www.hankyung.com

     

     

     

    3. 한은 "현 금리 긴축적 수준"… 이달 동결 시사

    23일 금통위 앞두고 업무보고
    "그간 인상효과 면밀히 점검"

    • 한국은행이 현재 연 3.5%인 기준금리가 “긴축적인 수준”이라고 평가
    • 금융통화위원회를 앞두고 기준금리 동결을 시사한 것으로 분석
    •  ‘긴축적’이라고 평가한 것은 중립금리를 웃도는 것으로 보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
    • 중립금리란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 압력을 초래하지 않는 금리 수준을 의미
    • 한은은 올해 경제에 대해 “국내 경기는 단기적으로 수출 부진, 소비 회복세 약화 등으로 작년보다 성장세가 둔화하겠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중국 경제 회복, 정보기술(IT) 경기 반등 등으로 점차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
    다행이다. 일단 이번달은 금리를 올리지 않을 것 같다. 
    미국은 경제상황이 좋아서 올려도 되지만 우리나라는 그렇지 못하다. 
    미국 금리 따라가다가 가랑이 찢어진다. 특히 우리나라는 부동산 부채가 많아서 금리를 잘못 올리면 
    부동산 연착륙이 아니라 그냥 수직 낙하로 꼬라박을 수 있다. 위에 뉴스를 보라. 얼마나 살기가 팍팍하면 
    자투리 시간에 앱테크로 티끌 같은 돈을 모으는 것에 직장인들이 열광하겠는가. 금리 더 올리면 이창용 총재도 본인도 앱테크를 해야 할 수도 있다.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3022127451

     

    한은 "현 금리 긴축적 수준"…이달 동결 시사

    한은 "현 금리 긴축적 수준"…이달 동결 시사, 23일 금통위 앞두고 업무보고 "그간 인상효과 면밀히 점검"

    www.hankyung.com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