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 구군별 부동산 미분양시장 현황부동산 궁금증 2023. 2. 22. 22:02
부동산 뉴스를 보면 서울 부동산은 살짝 분위기가 바뀌는 것 같다
거래량이 조금씩 늘면서 '바닥을 다졌다' VS '여전히 하락장'이란 반응이 나온다
하지만 대구는 계속 하락장이다. 어느 뉴스에도 바닥이란 용어가 없다.
저점이란 용어도 없다. 계속 하락이다.
국토교통부 2022년 12월 기준 주택 통계 발표자료를 보자
자료기준 미분양은 2009년도 16만 5천 호를 정점으로 감소한다
그러다 2021년 12월부터 점차 다시 증가해 현재 6만 8천 호가 미분양이다.
그중
대구가 1만 3천 호로 압도적으로 많다
국토교통부, 2022년 12월 주택 통계 발표 자료 세부적으로 대구시 자료를 살펴보자
수성구(3,105) > 남구(3,088) > 달서구(2,435) > 북구(1,515) > 동구(1,199) > 중구(1,091) > 서구(969) > 달성군(43) 순으로 미분양이 많다. 다른 구는 정점을 미분양 정점을 찍고 유지하고 있으나 남구와 서구는 최근 미분양이 증가했다.
대구광역시 미분양 공동주택 현황보고자료(2022년 12월) 대구 구, 군별 미분양 단지수를 살펴보자.
수성구가 14개 단지로 미분양 단지가 가장 많고 뒤를 이어 동구, 북구, 달서구가 10개 단지로 두 번째로 많다.
남구와 서구는 6개, 3개 단지로 낮은편에 속한다.
경제와의 전쟁 세대수별 미분양 단지 현황을 보자. 참고로 재건축, 재개발 단지 경우에는 조합원 물량은 빠져있다.
오로지 일반분양 세대수이다. 아래 그래프를 보면 일정한 추세가 보인다. (100세대 미만 단지 제외)
대구 구, 군 지역을 떠나 세대수가 클수록 미분양 단지수가 적다.
100~300세대의 단지가 미분양이 많고, 700세대 이상 단지가 미분양이 그나마 적다.
아파트는 대단지일수록 좋다는 말이 미분양 시장에도 반영돼 있는 걸까
눈에 띄는 미분양 단지는 중구 100~300세대 단지, 동구는 700~1000세대 단지가 유독 비율이 높다.
(중구는 건설할 땅이 적어 작은 세대수로 짓는 거 같고, 동구는 상대적으로 건설할 땅이 많아 큰 세대수가 많은 것 같다)
경제와의 전쟁 조금 더 상세하게 보자. 아래 파란색 막대그래프는 미분양 단지의 전체 세대수다.
주황색막대그래프는 미분양 세대수다. 빨간색 꺾은선 그래프는 '미분양 세대수/미분양 단지 전체 세대수'다.
꺾은선 그래프 미분양율은 남구와 서구가 높다. 동구가 가장 낮다.
한마디로 남구와 서구 미분양 아파트 단지의 80% 이상이 미분양 세대란 말이다.
왜 그럴까?
경제와의 전쟁 대구 시청 미분양 자료를 다시 보면 남구와 서구의 지역이 안 좋아서 단지별 미분양률이 높은 것이 아니라
가장 최근에 (2022년 하반기) 분양을 해서 단지별 미분양율이 높은 것이다.
22년 하반기부터 부동산 분위기가 안좋았고 대구는 공급과잉으로 더더욱 분위기가 안 좋았다.
그런 분위기에 분양을 하니 남구와 서구는 단지수(세대수)가 적어도 미분양율이 높은 것이다.
사람들이 쳐다보지도 않는다는 말이다.
대구광역시 미분양 공동주택 현황보고자료(2022년 12월) 결론적으로
현재 대구 부동산 미분양 시장은 구군별 지역 차이보다 추가 분양공급 계획에 달려있다.
추가 분양이 없거나 적은 지역은 먼저 회복할 것이고, 공급물량이 많으면 회복이 더 늦어질 것이다.그렇게 보면 대구시 '신규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 전면 보류는 탁월한 선택이다.
다만 어디까지 공급되고 어디까지 보류인지가 중요할 것이다.
다음에는 2023년 대구 분양 및 입주 물량에 대해서 알아보자.
'부동산 궁금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중도금 연체가 더 낫다. 중도금 안 내고 말지 (0) 2023.03.19 특례보금자리론 신축 아파트 불가??? (0) 2023.03.10 2023년 대구 부동산 분양 및 입주 일정 (0) 2023.02.26 미등기 아파트 매매하는 방법 (0) 2023.02.19 신축 아파트(미등기)는 초기 매매가 안된다? (0) 2023.02.18